주당순이익 EPS는 Earning per share 의 약자로서 우리말로는 주당 순이익이라 부릅니다. EPS는 1년동안 기업이 주식 1주당 얼마나 많은 이익을 창출했는지 알려주는 지표입니다. 1주로 얼마나 이익을 뽑아냈는지 알 수 있죠. 보통 EPS가 높으면 1주당 순이익이 높은 것이기 때문에 기업의 경영 실적이 양호하고 이익을 많이 창출했다고 판단하여 주가의 상승 요인으로 뽑기도 합니다. EPS 계산법 EPS는 기업이 벌어 들인 당기 순이익을 동 기업이 발행한 총 주식 수로 나누면 됩니다. 당기순이익은 회사가 일정 기간 벌어 들인 돈 중에서 순도 100%의 이익을 당기순이익이라 부릅니다. 뗄거 다 떼고 딱 기업 손에 들어온 이익금을 말하죠. 기업은 기본적으로 이익을 내야 존재 의미가 있으므로, 당기 순..
주가수익비율 PER은 Price Earning Ratio의 약자로서 직역하면 주가수익비율 이라고 합니다. 조금 더 풀어서 해석하면 기업의 1주당 벌어 들이는 순이익에 비해서 실제 주가가 몇 배가 되는지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이 PER을 통해서 현재 기업의 1주당 가격이 비싼지, 아닌지 판단할 수 있습니다. PER이 높으면 기업이 고평가되어 있고, PER이 낮다면 기업이 낮게 평가 되어 있다는 뜻으로 볼 수 있습니다. 물론 PER만으로 현재 주가의 가치를 판단할 수는 없지만, 대략적인 의미는 이렇다고 보시면 됩니다. 다르게 보면 PER은 순이익으로 기업의 총 가치에 도달하는 데 걸리는 시간으로도 볼 수 있습니다. PER의 요소 중 하나가 1년간의 이익이기 때문에, 순이익으로 시가총액에 근접할 때까지 얼마나..
배당률 뜻 배당률은 기업이 지급하는 배당금을 월 또는 년으로 1주 금액에 비례해서 계산합니다. 보통 배당률이라 하면 1년 배당금을 기준으로 계산하며, 이전에 준 배당금을 기준으로 계산합니다. 배당률 = 최근 1년동안 받은 배당금 / 기업의 1주당 가격 배당금 주는 이유 배당금은 기업이 일정기간 영업활동으로 벌어들인 이억금 중 일부를 주주가 가져갈 수 있도록 한 금액입니다. 주식이 있는 기업은 원리상 주주가 주체이고, 기업은 대상물이기 때문에, 회사로 인해 나오는 이익을 배당금으로 나누어줍니다. 배당률 확인 방법 배당률은 기업 홈페이지에도 있고, 투자은행 기업정보에서도 찾을 수 있습니다. 배당률만 확인하고 싶을 때는 저는 구글에 검색해서 배당률을 확인합니다. 이게 가장 편하더군요. 구글에 삼성전자 주가 라..
ETF란 ETF는 Exchange Traded Fund(상장지수펀드)의 약자입니다. 직역하면 거래 가능한 펀드란 말로서, 인덱스펀드를 거래소에 상장시켜서 투자자들이 주식처럼 편리하게 거래할 수 있도록 만든 상품입니다. 펀드와 비슷하지만, 거래의 편의성과 저렴한ETF는 Exchange Traded Fund(상장지수펀드)의 약자입니다. 직역하면 거래 가능한 펀드란 말로서, 인덱스펀드를 거래소에 상장시켜서 투자자들이 주식처럼 편리하게 거래할 수 있도록 만든 상품입니다. 펀드와 비슷하지만, 거래의 편의성과 저렴한 운용 수수료 때문에 요즘은 펀드보다는 ETF를 선호하는 투자자가 많습니다. 펀드와의 차이점 ETF와 펀드의 차이는 크게 투자의 타이밍, 보수, 거래비용, 시장충격비용 등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ETF는 ..